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방법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일단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하려면 공인인증서는 미리미리 준비를 해두셔야 합니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홈페이지에서 어떤 일처리를 할 경우, 공인인증서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해놓으세요. 예전에는 동사무소에 꼭 방문을 해서 전입신고를 했었는데요, 인터넷이 발달하다보니 집에서 앉아서 쉽게 전입신고 처리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방법
네이버에서 '전입신고'를 검색해봅니다. 전입신고는 인터넷 신청이 가능하며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물론 방문 신청도 가능합니다. 민원24 홈페이지에서 전입신고는 가능한데요, 민원24 홈페이지에서 '전입신고'에 관한 메뉴를 찾기 번거로우니 위 화면에서 '민원신청 하기'를 클릭해서 바로 이동합니다. ▲
수수료는 없으며 신청자 자격은 본인 또는 대리인이어야 합니다. 화면에 '신청하기'버튼을 클릭해서 진행합니다.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진행하니 전입신고 유의사항이 나옵니다. ▲
전입신고 유의사항을 숙지했으면 하단에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민원24 홈페이지에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준비된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해봅니다. 비회원의 경우도 가능하지만 방법이 복잡해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
UBS에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이동식 드라이브'를 체크합니다. ▲
오랜만에 접속했더니 회원정보 화면으로 넘어가네요.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
전입신고서를 작성합니다. 저는 다른 세대로 편입이 아니라 단독세대주로 하기 위해서 세대구성을 선택했습니다. 성명, 생년월일, 전화번호, 휴대전화 등을 확인하고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
새로 이사를 가는 곳, 새로 사는 곳의 주소를 입력합니다. 다음단계로 진행합니다. ▲
전입자 인적사항을 살펴봅니다. 그리고 우편물 전입지 전송 서비스 신청서 및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도 작성합니다. 다 자석하셨다면 '민원신청하기'를 눌러 진행합니다.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가 완료되었습니다. ▲
인터넷으로 전입신고한 것을 살펴보려면 민원24 홈페이지에서 나의민원-나의민원처리결과-신청내역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