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율 연차휴가 및 발생일수 계산 2016. 2. 3. 회사를 다니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연차'죠.휴가는 근로의무가 있는 근로일에 근로의무면제를 근로자의 신청에 의해서 취득한 날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법률상 반드시 주어야 하는 휴가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이 규정하고 있는 휴가는 연차휴가와 생리휴가, 출산휴가 등이 있으며 모성보호휴가 성격의 육아휴직이 있습니다. 하계휴가 등 약정 휴가는 노동법상 규정된 휴가는 아닙니다.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에 법정휴가와 별도로 하계휴가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하계휴가를 부여할 법적인 의무는 없습니다. 연차휴가 주간기준 근로시간이 40시간 이상이 경우 사용자는 근로자가 1년간 80%(출근율)이상 출근 시 15일의 연차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단, 1년간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