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어음 환어음 및 수표(자기앞수표, 당좌수표)란? 2016. 9. 2. 환어음이란? 어음 발행인이 제3자인 지급인에게 어음금의 지급을 위탁하는 어음을 환어음이라고 합니다. 어음금을 제3자가 지급한다는 점에서 약속어음과 다릅니다. 국제거래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어음 형태로서, 일반 상거래에서는 경험할 기회는 거의 없습니다. 수표란? 발행인이 수취인 또는 소지인에게 정해진 금액을 지급할 것을 수표상의 지급인에게 맡기는 형식의 유가증권을 말합니다. 수표상의 지급인은 주로 은행이 됩니다. 실제 거래에서는 자기앞수표와 당좌수표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수표는 "수표법"이 정한 기재요건을 갖춰야 하는 요식증권인데, 10여 년 전만 해도 어음과 함께 현금을 대신하는 대체지급 수단으로 가장 많이 쓰였지만 최근에는 신용카드에게 그 자리를 내주었습니다. 자기앞수표 자기앞수표는 최근 5만 .. 약속어음이란? 2016. 9. 1. 약속어음은 말 그대로 발행인이 수취인이나 어음 소지인에게 어음금을 지급하겠다는 약속의 의미로 발행하는 어음을 말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굳이 은행에서 지급한 용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어음의 기재요건을 갖추기만 하면 빈 종이나 문구점에서 파는 어음용지를 사용해도 완전히 유효한 약속어음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 상거래에서는 어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지급장소를 은행으로 정하는 은행도 어음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은행도 어음은 은행에 어음금의 지급을 위탁하는 것일 뿐 은행이 직접 지급 책임을 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발행인의 계좌에 잔고가 없으면 은행은 지급을 거절합니다. 이것을 부도라고 합니다. 은행도 어음을 발행하려면 은행에 당좌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당좌대출 계약을 맺은 거래자는 자기 계좌에.. 어음이란? 2016. 8. 31. 우리가 살아가면서 여러가지 법률용어에 대해서 듣게 되는데요, 정확한 뜻을 몰라서 피해를 볼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그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전문가에게 찾아가는 것이지만 알고 가는 것과 모르고 가는 것은 큰 차이가 있죠. 그래서 오늘은 [어음이란?]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어음이란? 어음은 거래관계가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한쪽이 상대방에게 언제 일정한 금액을 주겠다고 적어서 건네주는 일종의 외상거래 증사로서 유가증권에 속합니다. 어음은 [어음법]이 정하는 기재요건을 갖춰 발행해야 하는 요식증권이자, 대표적인 비현금 지급수단입니다. 어음을 발행하는 사람이 반드시 어음상에 기재해야 하는 사항은 8가지 입니다. 약속어음 또는 환어음이라는 명칭지급인지급지만기수위인발행일과..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