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법과 일반 상식/근로기준법 및 노동법

단시간근로자 계약기간 및 실무처리방법

오늘은 단시간근로자의 계약기간과 실무처리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근로계약의 체결


가.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를 고용할 경우에 임금, 근로시간, 그 밖의 근로조건을 명확히 적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서 근로자에게 내주어야 한다.

나. 단시간근로자의 근로계약서에는 계약기간, 근로일, 근로시간의 시작과 종료 시각, 시간급 임금,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이 명시되어야 한다.


단시간근로자 계약기간 및 실무처리방법단시간근로자 계약기간 및 실무처리방법


2. 임금의 계산


가. 단시간근로자의 임금산정 단위는 시간급을 원칙으로 하며, 시간급 임금을 일급 통상임금으로 산정할 경우에는 나목에 따른 1일 소정근로시간 수에 시간급 임금을 곱하여 산정한다.

나. 단시간근로자의 1일 소정근로시간 수는 4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을 그 기간의 통상 근로자의 총 소정근로일 수로 나눈 시간 수로 한다.


3. 초과근로


가.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를 소정 근로일이 아닌 날에 근로시키거나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해서 근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 등에 그 내용 및 정도를 명시해야 하며, 초과근로에 대해서 가산임금을 지급하기로 한 경우에는 그 지급률을 명시해야 한다.

나. 사용자는 근로자와 합의한 경우에만 초과근로를 시킬 수 있다.



4. 휴일ㆍ휴가의 적용


가. 사용자는 단기간근로자에게 법 제55조에 따른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나.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에게 법 제60조에 따른 연차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유급휴가는 다음의 방식으로 계산한 시간단위로 하며, 1시간 미만은 1시간으로 본다.


통상 근로자의 연차휴가 일수 *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통상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8시간


다. 사용자는 여성인 단시간근로자에 대하여 법 제73조에 따른 생리휴가 및 법 제74조에 따른 출산전ㆍ후휴가를 주어야 한다.

라. 가목 및 다목의 경우에 사용자가 지급해야 하는 임금은 제2호 가목에 따른 일급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한다.

마. 나목의 경우에 사용자가 지급해야 하는 임금은 시간급을 기준으로 한다.



5. 취업규칙의 작성 및 변경


가. 사용자는 단시간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을 통상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과 별도로 작성할 수 있다.

나. 가목에 따라 취업규칙을 작성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용대상이 되는 단시간근로자 과반수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다만, 취업규칙을 단시간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 동의를 받아야 한다.

다. 단시간근로자에게 적용될 별도의 취업규칙이 작성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통상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이 적용된다. 다만 취업규칙에서 단시간근로자에 대한 적용을 배제하는 규정을 두거나 다르게 적용한다는 규정을 둔 경우에는 그에 따른다.

라. 가목 및 다목에 따라 단시간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취업규칙을 작성 또는 변경하는 경우에는 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